한영섭 독립연구활동가 알아보기 자세히보기

경제돌봄연구소 (구)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금융경제학

[단어]시장경제

한영섭 2018. 1. 13. 15:30




시장경제

[]

요약 자유경쟁의 원칙에 의해 시장에서 가격이 형성되는 경제.

시장경제라는 말은 경제학상의 용어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사회주의 경제를 계획경제()라고 부르는 데 대한 자본주의의 경제를 이렇게 부른다.

자유주의경제체제에서는 모든 경제주체의 생산활동은 자유로우며, 시장에서의 물품구입도 자유의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같은 흐름을 일견 너무 자유로워 무질서한 경제활동처럼 인식되기 쉬우나 그것이 자연스럽게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가격()이라고 하는 메커니즘이 시장에서의 상품매매를 성사시키고, 또 이것을 근거로 생산과 소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제의 특장()은 장기적으로 보아 가격의 자유로운 흐름에 따라 자원의 합리적 분배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다.

시장경제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대전 후부터는 사회주의국가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따라서 시장경제의 메커니즘은 이들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에 부분적으로 적용되어 갔다. 그것은 비록 계획경제에 의해 가격과 생산량이 결정되었다하더라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결국 생산량과 수요량은 일치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 시장 메커니즘이 개입됨으로써 가격과 수급()이 조정되고 시장은 원활히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계획경제에 의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경우라도 시장경제의 수급균형화작용()을 활용해야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으며, 이와 관련 1930년대에 F.A.v.하이에크, L.E.v.미제스 등은 사회주의경제하에서의 경제운영불가론을 내세운 데 대하여 F.M.테일러, O.R.랑게 등은 경쟁적 사회주의를 제창, 사회주의경제 불가론을 주창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장경제 [市場經濟] (두산백과)


시장경제

[market economy음성듣기]

개별 경제주체들이 시장에서 만나 자유경쟁에 의해 형성되는 가격을 지표로 하여 자유롭게 경제 활동을 전개하는 경제 체제.

사유재산 제도를 토대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하에서는 토지 · 노동 · 자본 등의 생산 요소가 대부분 사유화되어 상품으로 매매되므로, 생산 · 교환 · 분배 · 소비의 모든 경제 활동이 가격기구 즉 시장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각 경제주체가 자기 책임하에 자유로이 이익을 추구하는 시장경제 활동을 통해 기본적인 경제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경제 체제를 시장경제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장경제 [市場經濟, market economy] (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 2002. 9. 25., (주)신원문화사)

시장 경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장 경제(市場經濟)는 분업에 의해 생산된 재화와 용역을 자유 가격 체제의 수요와 공급 관계에 의해 분배하는 사회구성체이다.[1] 시장 경제는 애덤 스미스가 말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는 체제이다. 시장 경제는 종종 계획 경제혼합 경제 등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실제 사회에서 순수한 형태의 시장 경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각 국가 또는 사회마다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고 있다.[2]

시장 경제는 종종 '자본주의'와 같은 뜻으로 여겨지나 둘은 엄연히 다른 것이고, 자유 시장 경제가 종종 시장 경제의 동의어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루트비히 에르하르트는 레세페르(프랑스어: laissez-faire)와 같은 시장 사회주의도 가능한 점을 지적하였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