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 1.제품을 직접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닌, 판매, 관광, 금융, 의료 등의 활동.
- 공공 서비스.
- 용역 서비스.
- 의료 서비스.
- 서비스 산업.
- 서비스를 제공하다.
- 병원장은 환자에게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 나는 청소 서비스 업체에 소속되어 대기업에서 청소를 대신해 주고 있다.
- 교사의 수업과 같은 노동은 물건이 아니므로 서비스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 가: 한국은 서비스 산업이 발달해 있죠?
나: 그렇죠.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높은 편이에요.
- 2.다른 사람의 기분이 좋아지도록 친절하고 정성스럽게 대함.
- 서비스 정신.
- 서비스가 좋다.
- 서비스가 철저하다.
- 서비스를 받다.
- 서비스를 제공하다.
- 새로 생긴 옷 가게는 점원들이 고객들에게 친절하게 대해 주어 서비스가 좋은 편이다.
- 우리 백화점은 고객들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도록 점원들에게 서비스 정신을 가르치고 있다.
- 가: 우리 아들이 웬일로 설거지도 해 주고 청소도 해 주고 오늘따라 왜 이렇게 서비스가 좋아?
나: 그냥 오늘은 엄마를 도와 드리고 싶었어요.
- 3.물건을 파는 사람이 사는 사람을 기분 좋게 하려고 물건값을 싸게 해 주거나 공짜로 더 줌.
- 서비스 안주.
- 서비스가 나오다.
- 서비스로 주다.
- 내가 자주 가는 식당은 아주머니가 인심이 후하셔서 서비스가 많이 나온다.
- 김치를 주문한 곳에서 서비스로 밀폐 용기까지 주어 나는 매우 만족스러웠다.
- 가: 좀 싸게 주시면 안 돼요?
나: 더 이상 싸게 드릴 수는 없고 대신에 티셔츠를 하나 서비스로 드릴게요.
- 4.탁구, 배구, 테니스 등의 운동 경기에서, 공격하는 쪽이 상대편 쪽으로 공을 쳐 넣는 일. 또는 그 공.
- 서비스 공격.
- 서비스 동작.
- 서비스를 넣다.
- 서비스를 잘하다.
- 서비스를 하다.
- 서비스를 할 때 공이 네트에 맞으면 다시 서비스를 해야 한다.
- 내가 상대 팀의 코트 안으로 넣은 서비스를 상대 팀 선수가 잘 받아 냈다.
- 상대방이 공의 방향을 쉽게 알아챌 수 없고 곧바로 공격을 당하지 않을 수 있어야 좋은 서비스이다.
- 가: 이번엔 내가 서비스를 넣을 차례지?
나: 아냐. 지영이 차례야.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는 노동과정 밖에서 기능하는 노동을 광범위하게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용역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서비스에는 여러 가지 노동이나 활동이 포함되는데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다른 노동은 생산물로 대상화되어 생산물을 통하여 우회적 · 간접적으로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나, 서비스 노동은 인간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충족시켜준다. ② 다른 노동은 생산물로 대상화되어 그 생산과 소비가 시간적 ·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나, 서비스 노동은 생산물로 대상화되지 않으므로 시간적으로는 생산과 동시에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생산된 곳에서 소비되어야 한다. ③ 다른 노동은 물질적 재화의 생산을 통하여 인간생명의 물질적 재생산에 직접 기여하는 바가 많으나 서비스 노동은 인간생명에 직접 기여하는 바는 적다. ④ 다른 노동은 노동대상이나 노동수단, 곧 생산수단을 필요로 하나 서비스 노동은 반드시 생산수단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서비스 노동이 활동하는 산업부문을 서비스 산업이라 하는데, 클라크(Clark, C. G.)는 전산업을 3부문으로 분류하여 서비스 산업을 제3차산업으로 규정하여 도매업, 소매업, 운수 · 통신업 · 공무 · 가사노동 기타의 비물질적 생산을 담당하는 모든 업무를 포함시켰다.
바인트라우프(Weintraub, D.)와 맥도프(Magdoff, H.)는 서비스 산업을 다시 5부분으로 세분하고 있다. ① 운수, 통신, 도매업 등 이미 생산된 재화를 취급하는 산업 ② 금융업, 보험업 등 금융 · 재산을 취급하는 산업 ③ 가사노동, 자유업 등 전적으로 개인적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산업 ④ 관공리 등의 공무업 ⑤ 제1차 산업, 제2차 산업에서 관리사무를 담당하는 직원층 등이다. 또한 피셔(Fischer, A. G. B.)는 서비스 산업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① 물적생산의 생산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종속적 · 보조적인 형태의 생산과 ② 직접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생산으로 나누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가 발달하면 제3차 산업인 서비스 부문이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페티(Petty, W.)나 클라크에 의해 지적되고 있다. 서비스 노동의 성질에 대해서는 스미스(Smith, A.) 이래로 논의가 거듭되고 있다. 최근에도 서비스를 국민소득에 포함시킬 것이냐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이론이 대립되고 있다. 힉스(Hicks, J. R.), 피구(Pigou, A. C.), 쿠즈네츠(Kuznets, S. S.) 등은 서비스를 생산적이라고 생각하나, 팔리체프(Palitsev, A.), 코지올레크(Koziolek, H.) 등은 비생산적이라고 주장했다.
서비스에 대한 과학적 논의는 스미스에 의하여 처음으로 전개되었다. 스미스는 사법 및 군무의 관리, 목사, 법률가, 의사, 문인, 배우, 음악가, 오페라 가수 등의 서비스노동은 비생산적이라고 생각했다. 즉 스미스는 자본과 교환된 노동과 상품으로 실현된 노동만을 생산적이라 생각했는데, 서비스는 후일 그것과 교환하여 등량의 가치를 획득할 수 있는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르크스(Marx, K.)는 스미스의 규정을 더욱 순화하여 ① 초역사적인 노동과정일반의 관점에서 '생산물로 즉 상품으로 실현된 노동은 생산적'이며, ② 자본제 생산의 가치증식과정의 관점에서 '직접으로 자본을 증식시키는, 즉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노동이 생산적'이라고 규정하여 서비스 노동은 직접생산물로 현상화되지 않고, 또한 직접 잉여가치를 생산하지 않으므로 비생산적이라고 주장했다.
- 도 괜찮다고 했어.
서비스는 생산된 재화를 운반하거나 생산, 소비에 필요한 인력을 제공하는 것이에요. 다른 사람을 위해 도움을 주거나 배려를 해주는 행위 또는 기술을 말해요.
서비스업은 물건을 생산하는 대신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에요. 서비스업의 종류는 다양해요.
1. 운수, 통신, 물건 판매 등과 같이 이미 생산된 물건을 취급하는 것과 관련된 일
2. 은행, 보험과 같이 돈이나 재산을 취급하는 일
3. 산업, 가사 노동과 같이 개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4. 관리와 공공업무 등의 공무업
5. 의료, 미용, 교육, 정보, 상담, 오락 등을 제공하는 일
경제가 발전하면서 서비스업의 종류도 많아지고 서비스업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답니다.
용역
[用役]
재화와 함께 경제 행위의 객체가 되는 것으로, 형태는 없으면서 인간의 만족을 충족시켜 주는 사람들의 활동이나 작용을 말하며, 흔히 서비스라고 한다. 교사의 수업 행위 · 의사의 진료 활동 · 가수의 음악 활동 등이 모두 용역에 속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역 [用役] (Basic 고교생을 위한 사회 용어사전, 2006. 10. 30., (주)신원문화사)
명사
- 생산과 소비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하는 일.
- 용역 사무실.
- 용역 회사.
- 재화와 용역.
- 용역을 맡기다.
- 용역을 쓰다.
- 학교 청소를 위해서 청소를 전문적으로 해 주는 회사에게 용역을 의뢰했다.
- 혼자 힘으로는 정원을 정리할 수 없어서 대신 정원 일을 해 줄 용역을 쓰기로 결정했다.
- 가: 그 많은 자료를 우리끼리 어떻게 정리해요?
나: 걱정하지 마. 회사에서 외부 용역을 써 일반적으로 용역이라 함은 타인을 위하여 하는 봉사활동을 뜻하나, 경제학에서도 토지·자본·노동이라는 각 생산요소나 정부 등이 재(財)를 생산하거나 또는 직접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봉사활동을 가리킨다.
예컨대 토지는 ① 생산활동을 위한 일정한 지표의 제공, ② 역학적 ·화학적 작용으로 지력(地力)의 제공, ③ 교통관계에서의 특정위치의 제공이라는 봉사활동을 한다고 한다. 또한 경제학상의 한 학설은 각 생산요소가 제공하는 각각의 용역에 대해서는 그 용역의 가치만큼의 소득이 지불되며, 토지-땅값, 자본-이자, 노동-임금이라는 삼위일체의 공식이 성립한다고 주장한다. 이들 생산요소의 각 용역 및 정부용역에 대한 지불의 총액이 분배국민소득을 이룬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역 [service, 用役] (두산백과)
재화와 용역
'경제돌봄연구소 (구)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영섭소장, 개인 생활경제 컨설팅 진행 #재무상담 #재무설계 #내지갑상담 (0) | 2018.02.28 |
---|---|
[단어]상품 (0) | 2018.01.14 |
노동, 서비스와 용역은 다르다. (0) | 2018.01.14 |
[단어]생산, [production, 生産] (0) | 2018.01.09 |
[질문]2018년 1월 5일 청년대학 질문 (0) | 2018.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