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섭 독립연구활동가 알아보기 자세히보기

정신적 부/배움 : 철학, 역사, 그림, 음악, 차, 술, 시

제갈량, 계자서

한영섭 2018. 12. 10. 01:09

君子之行 靜以修身, 儉以養德.

 

非澹泊無以明志, 非寧靜無以致遠.

 

夫學須靜也, 才須學也, 非學無以廣才, 非靜無以成學.

 

慆慢則不能硏精, 險躁則不能理性.

 

年與時馳, 志與歲去, 遂成枯落, 悲嘆窮廬, 將復何及也

 

- 諸葛亮 誡子書 -

 

 

 

군자의 조행이란 고요한 마음으로 몸을 닦고 검소함으로써 덕을 기르는 것이다.

 

마음에 욕심이 없어 담박하지 않으면 뜻을 밝힐 수 없고, 마음이 안정되어 있지 않으면, 원대한 이상을 이룰 수 없다.

 

배울 때는 반드시 마음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재능은 반드시 배움을 필요로 한다.

 

배우지 않으면 재능을 발전시킬 수 없고, 마음이 고요하지 않으면 학문을 성취할 수 없다.


마음이 방자하고 오만하면 정밀하고 미묘한 이치를 깊이 연구할 수 없고, 조급하고 경망하면 자신의 본성을 제대로 다스릴 수 없다. 

이치를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본성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사이에 나이는 시간과 함께 달려가고, 의지는 세월과 함께 사라지면서 마침내 가을날 초목처럼 시들어 갈 것이다. 그때 가서 곤궁한 오두막집에서 슬퍼하고 탄식해 본들 어찌할 것인가?

 

- 제갈량 계자서 -



출처: http://daehyuk.tistory.com/1 [和光同塵]



<戒子書>


夫君子之行 靜以修身 儉以養德
(부군자지행 정이수신 검이양덕)
무릇 군자의 조행操行이란, 고요한 마음으로 몸을 닦고 검소함으로써 덕을 기르는 것이다. 

* 儉: 마음가짐의 검소함. 

非澹泊無以明志 非寧靜無以致遠
(비담박무이명지 비녕정무이치원)
마음에 욕심이 없어 담박하지 않으면 뜻을 밝힐 수 없고, 마음이 안정되어 있지 않으면 원대한 이상을 이룰 수 없다. 

夫學須靜也 才須學也
(부학수정야 재수학야)
무릇 배울 때는 반드시 마음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재능은 반드시 배움을 필요로 한다. 

非學無以廣才 非志無以成學
(비학무이광재 비지무이성학)
배우지 않으면 재능을 발전시킬 수 없고, 마음이 고요하지 않으면 학문을 성취할 수 없다. 

淫慢則不能勵精 險躁則不能治性
(음만즉불능여정 험조즉불능치성)
마음이 방자하고 오만하면 정밀하고 미묘한 이치를 깊이 연구할 수 없고, 조급하고 경망하면 자신의 본성을 제대로 다스릴 수 없다. 

年與時馳 意與歲去 遂成枯落 多不接世
(년여시치 의여세거 수성고락 다불접세)
이치를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본성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사이에 나이는 시간과 함께 달려가고, 의지는 세월과 함께 사라지면서 마침내 가을날 초목처럼 시들어 갈 것이다. 

悲守窮廬 將復何及
(비수궁려 장부하급)
그때 가서 곤궁한 오두막집에서 슬퍼하고 탄식해 본들 어찌할 것인가? 

- 제갈량(諸葛亮,181-234)의 <戒子書>
(8살 아들 첨에게 보낸 편지.)

: 논어 강의 - 마하연- 남회근 지음, 송찬문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