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섭 독립연구활동가 알아보기 자세히보기

생태적 부/마음 공부

[단어]깨달음 enlightenment

한영섭 2018. 1. 12. 07:16

깨달음 

enlightenment

발음  [깨다름]

명사

  1. 사물의 본질이나 이치, 진리 등을 깊이 생각한 끝에 알게 되는 것.
    • 큰 깨달음.
    • 깨달음의 경지.
    • 깨달음을 구하다.
    • 깨달음을 얻다.
    • 깨달음을 이루다.
    • 깨달음을 추구하다.
    • 그는 깊은 생각 끝에 큰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 그는 깨달음을 얻기 전까지는 산에서 내려가지 않고 계속 도를 닦겠다고 했다.
    • 가: 선생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시는 방법은 어떤 것인가요?
      나: 무엇보다도 선조들의 지혜가 녹아 있는 책을 보는 것이지요.


깨달음을 얻다
find enlightenment



깨달음

불교의 역사를 통해서 출가이든 재가이든 불교자들은 선정() 또는 삼매에 들어가도록 수행하고, 선정이나 삼매에서 불교적 진리를 아는 지혜를 획득하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된다. 선정이나 삼매로 표층의식을 소멸시켜 심층의식을 자각해가고, 최심층의식도 소멸시키는 동시에 그 자신의 실존에서 모든 중생에 해당되는 근본진리를 아는 지혜를 얻어서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깨달음이라는 것은 그와 같은 방법으로 자아적인 인격에서 해탈해서 자유롭게 되고, 중생에 대해서 무애()자재로 작용해서 새로운 불보살적 인격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라고 해도 좋다. 그러나 깨달음에 의해서 얻어지는 구체적인 진리나 깨달음을 표현하는 말은 여러 시대나 지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석존 자신은 점차로 심오한 선정을 체득해서 과거ㆍ미래ㆍ현재에 이르는 자아적 존재를 방기한 점에서, 현재 여기에 <해탈>해서 자유로워 진다든지 <열반>으로 들어간다고 주장하였다. 불제자들의 교단은 석존을 <불타(자각한 자)>라고 부르거나, 석존의 깨달음을 <보리(자각)>라고 부르게 되며, 또한 다른 한편으로 석존의 가르침을 정리한 <사제()>의 진리를 <현관()>해서 <무루해탈()>을 얻는다든지, <(십이)연기>의 진리를 <관()>해서 <정등각()>한다든지 등으로 설명하게 되었다. 대승불교에서는 불이나 보살을 찬탄해서 삼매에 들어가고, 제불에 알현해서 <불퇴전(退)>이 된다든지 <무생법인()>을 얻는다던지, 나아가서는 윤회적 존재의 근거가 소멸되어서 새롭게 열반적 존재의 근거가 <전의()>하는 것 등으로 설명되었다.

출처

제공처 정보

세계 전역의 여러 종교에 관련된 중요 용어들은 물론 주요 인물과 활동, 유래, 기능 및 영향력 등 각 종파의 특징적인 것을 총망라하여 가나다 순으로 해설한 사전. 기독교, 불교, 유교, 천주교, 각종 종교를 망라하여 '가나안'부...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깨달음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연구사)